대왕의 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의 길》은 1998년 MBC에서 방영된 34부작 정통 대하드라마로, 영조, 사도세자, 정조 3대의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었으나 조기 종영되었다. 18세기 조선을 배경으로, 영조와 사도세자의 갈등, 혜경궁 홍씨의 삶 등을 다루며, 혜경궁 홍씨의 회고록인 《한중록》을 주요 자료로 활용했다. 박근형, 임호, 홍리나 등이 출연했으며, 과장된 장면과 작가와의 갈등으로 인해 시청률 부진과 조기 종영, 그리고 1998년 최악의 드라마 7위에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숙빈 - 최효원
최효원은 숙빈 최씨의 아버지이자 영조의 외조부이며, 선략장군을 지내고 1672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고 묘소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있다. - 최숙빈 - 숙빈 최씨
숙빈 최씨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자 영조의 생모로, 무수리 또는 침방 궁녀 출신으로 추정되며 인현왕후를 지지하여 장희빈과 대립했고, 숙종의 총애를 받아 숙빈에 책봉되었으며, 묘는 파주 소령원에 위치한다. - 조선 영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어사 박문수
《어사 박문수》는 1981년 MBC에서 방영된 조선시대 어사 박문수의 활약상을 그린 드라마이다. - 조선 영조를 소재로 한 작품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은 2014년 SBS 드라마로, 사도세자가 친구의 죽음의 진실을 파헤치며 아버지 영조의 숨겨진 비밀과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궁중 암투와 정치적 음모를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에 픽션적 요소를 가미했다. - 임충 시나리오 작품 - 홍국영 (드라마)
홍국영 (드라마)은 김상경, 정웅인 등이 출연하여 조선 후기 세도가 홍국영이 정조의 총애를 얻어 권력의 정점에 오른 후 몰락하는 과정을 그리는 드라마다. - 임충 시나리오 작품 - 야망 (드라마)
조선 시대 정조-순조 시대를 배경으로 개혁 세력과 기존 세력 간 갈등 속 네 남매의 야망과 사랑, 우정을 그린 드라마 《야망》은 1994년 KBS에서 방영되었으며 최수종, 염정아, 정보석 등이 출연하여 시대의 아픔을 겪는 인물들을 묘사, 아역 배우들의 호연과 중년 시청자들의 지지로 인기를 얻었다.
대왕의 길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드라마 정보 | |
방송명 | 대왕의 길 |
원제 | 해당 정보 없음 |
장르 | 사극 |
방송 시간 | 수~목 오후 9시 55분 |
방송 분량 | 해당 정보 없음 |
방송 기간 | 1998년 4월 15일 ~ 1998년 8월 13일 |
방송 횟수 | 34부작 |
방송 채널 | MBC |
기획 | 이병훈 |
제작 | 해당 정보 없음 |
총감독 | 해당 정보 없음 |
감독 | 해당 정보 없음 |
연출 | 소원영 |
원작 | 해당 정보 없음 |
각본 | 임충 |
책임 프로듀서 | 해당 정보 없음 |
프로듀서 | 해당 정보 없음 |
출연자 | 박근형, 임호, 홍리나 외 |
음성 | 해당 정보 없음 |
자막 | 해당 정보 없음 |
데이터 방송 | 해당 정보 없음 |
고화질 방송 여부 | 해당 정보 없음 |
여는 곡 | 해당 정보 없음 |
닫는 곡 | 주현미 - 대왕의 길 |
외부 링크 | 해당 정보 없음 |
외부 링크 이름 | 해당 정보 없음 |
비고 | 해당 정보 없음 |
2. 시대적 배경
18세기 조선은 노론과 소론의 극심한 당파 싸움으로 혼란스러웠다. 영조(재위 1724년 ~ 1776년)는 탕평책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 했으나, 사도세자를 둘러싼 갈등은 비극으로 이어졌다.[1] 정성왕후 사후 1759년, 15세의 정순왕후가 66세의 영조의 계비로 간택되었다. 정순왕후는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도세자를 미워하며 노론과 함께 그를 모함했고, 결국 1762년 사도세자는 영조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1]
2. 1. 조선 왕조의 당파 싸움
조선 영조 재위 기간(1724년 ~ 1776년) 당시 조정은 노론과 소론 두 당파로 나뉘어 권력 다툼을 벌였다.[1] 영조는 노론과 소론을 같은 수로 등용하는 정책을 펼쳤으나, 사도세자가 소론의 지지를 받으면서 노론의 견제를 받았다.[1] 1749년 사도세자의 대리청정이 시작되자, 노론은 권력 유지를 위해 세자 폐위를 위한 여러 음모를 꾸몄다.[1]2. 2. 영조의 탕평책
영조는 18세기 조선의 국왕으로, 재위 기간은 1724년부터 1776년까지 52년이었다.당시 조정은 노론과 소론 두 개의 큰 당파로 분열되어 격렬한 세력 다툼을 벌였다. 영조는 즉위 초기에 자신을 지지한 노론을 등용했지만, 이후 관료 자리에 노론과 소론을 같은 수로 임명하는 탕평책을 사용하여 국내 안정을 도모했다.[1] 그러나 사도세자가 소론 귀족에게 사사했고, 세자빈 홍씨의 일족도 소론이었기 때문에 노론은 세자를 소론으로 간주했다.[1] 1749년 세자에 의한 대리청정이 시작되자 노론은 권력이 소론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세자 폐위를 위한 여러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다.[1]
3. 주요 등장인물 및 출연진
박근형은 영조 역, 임호는 사도세자 역, 홍리나는 혜경궁 홍씨 역, 윤손하는 숙의 문씨 역을 맡았다.
3. 1. 주요 인물
배역명 | 배우 |
---|---|
영조 | 박근형 |
사도세자 | 임호 |
혜경궁 홍씨 | 홍리나 |
숙빈 최씨 | 김영애 |
화평옹주 | 김성령 |
인원왕후 | 김용림 |
정성왕후 서씨 | 문예지 |
정순왕후 김씨 | 이인혜 |
영빈 이씨 | 정혜선 |
화완옹주 | 김지연 (아역: 이정윤) |
숙빈 임씨 | 고호경 |
숙의 문씨 | 윤손하 |
청연공주 | 장한나 |
청선공주 | 이세영 |
화령옹주 | 박지미 |
어린 효의왕후 | 이애정 |
문숙의 처소 하상궁 | 송옥숙 |
문숙의 처소상궁 | 백현숙 |
윤상궁 | 김용선 |
이종성 | 변희봉 |
김한구 | 최주봉 |
화협옹주 | 구혜진 |
사도세자전 한상궁 | 김수미 |
박문수 | 이영후 |
문성국 | 권용운 |
숙의 문씨 어머니 | 김애경 |
문숙의 숙부 | 오승명 |
한산부부인 이씨 | 김자옥 |
효순왕후 | 박정숙 |
어린 정조 | 안성태 |
홍봉한 | 한인수 |
홍인한 | 조형기 |
홍낙인 | 유준석 |
홍낙춘 | 현석 |
대전 내관 | 남포동 |
최상궁 | 김지영 |
김상로 | 박종관 |
분승지 | 차윤회 |
조유진 | 김정현 |
엄흥복 | 안승훈 |
민별감 | 이원재 |
내관 | 조성하 |
김일경 | 이진우 |
신만 | 한규희 |
홍계희 | 박영태 |
조재호 | 김기진 |
사도세자전 내관 | 박종설, 김영석 |
수문장 | 문용진 |
윤지 | 이치우 |
정순왕후의 어머니 | 김명희 |
정휘량 | 송용태 |
금부도사 | 정호근 |
노론 중신 | 이대로, 최병학 |
은신군 | 이민호 |
대전 대령상궁 민씨 | 노경주 |
기타 | 강지오, 강민규, 박재현, 최우혁, 한춘일, 조덕현, 홍충민, 박형선, 신복숙, 유서진, 김세아, 강성연 |
- 영조한국어 (박근형한국어)
- : 조선 제21대 왕. 제19대 왕 숙종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나, 생모의 신분이 낮아 어린 시절 궁궐에서 소홀한 대우를 받았다. 조정의 권력 다툼도 얽혀 제20대 왕 경종 독살의 혐의를 받기도 하는 등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 어린 사도세자가 선대 왕 독살에 대해 질문한 것을 계기로 사도세자를 꺼리게 된다.
- 사도세자한국어 (임호한국어)
- :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차남이자 왕세자. 어릴 때 세자가 되었지만 아버지 영조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것에 고통스러워한다.
- 혜경궁 홍씨한국어 (홍리나한국어)
- : 사도세자의 정실 부인. 제22대 왕 정조의 생모. 10세에 사도세자에게 시집와서 신중하고 온화한 성격으로 상심한 사도세자를 지지한다.
- 숙의 문씨한국어 (윤손하한국어)
- : 영조의 후궁. 가난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후궁이 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는다. 사도세자를 훗날 태어날 자신의 아들의 적으로 여기고 세자 자리에서 몰아내려는 계략을 꾸민다.
3. 2. 왕실 인물
- 박근형: 영조 역 (아역: 곽정욱)
- 임호: 사도세자 역
- 홍리나: 혜경궁 홍씨 역
- 김영애: 숙빈 최씨 역
- 김성령: 화평옹주 역
- 김용림: 인원왕후 김씨 역
- 문예지: 정성왕후 서씨 역
- 이인혜: 정순왕후 김씨 역
- 정혜선: 영빈 이씨 역
- 김지연: 화완옹주 역 (아역: 이정윤)
- 고호경: 숙빈 임씨 역
- 윤손하: 숙의 문씨 역
- 장한나: 청연공주 역
- 이세영: 청선공주 역
- 박지미: 화령옹주 역
- 이애정: 세손빈 (어린 효의왕후) 역
- 구혜진: 화협옹주 역
- 김자옥: 한산부부인 이씨 (혜경궁 홍씨의 어머니) 역
- 박정숙: 효순왕후 역
- 안성태: 세손 (어린 정조) 역
- 이민호: 은신군 역
- 전혜선: 영빈 이씨 (영조의 측실, 사도세자의 어머니)
- 김성령: 화평옹주 (영조의 둘째 딸, 사도세자의 누이)
- 김영림: 인원왕후 김씨 (영조의 계모)
- 김영애: 숙빈 최씨 (영조의 생모)
- 이인혜: 정순왕후 (영조의 후처)
- 정순왕후는 본관이 노론이므로, 음으로 사도세자를 함정에 빠뜨리려 한다.
- 문예지: 정성왕후 (영조의 정실)
- 구혜진: 화협옹주 (영조의 여덟째 딸)
- 김지연: 화완옹주 (영조의 아홉째 딸)
- 박정숙: 현빈 조씨
3. 3. 사도세자 주변 인물
(혜경궁 홍씨의 어머니)(혜빈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측실)
(사도세자의 유모)